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티스토리 뷰

카테고리 없음

다가구주택과 다세대주택의 차이점 한눈에 정리!

gurucabin 2025. 5. 1. 08:00

목차



     

    헷갈리는 다가구 vs 다세대, 정확한 구분법은?

     

     

     

    1. "소유권과 등기"로 구분하는 핵심 차이점

     

    다가구주택과 다세대주택의 가장 명확한 차이는
    "소유권"과 "등기 방식"에 있습니다.

     

    • 다가구주택은 한 명의 소유주가 전체 건물을 소유하고,
      임대 목적으로 여러 세대를 나누어 사용하는 형태입니다.
      세입자는 개별 등기를 할 수 없고, 전체가 하나의 등기입니다.
    • 다세대주택은 각 세대별로 개별 등기가 가능하며,
      분양 및 소유권 이전이 자유롭습니다.
      쉽게 말해, 아파트처럼 각 세대가 "자기 집"이 될 수 있습니다.

     

    "등기 방식만 알아도 두 유형을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습니다."

     


    2. 정부 기준에 따른 정의 비교표

     

    구분 다가구주택 다세대주택
    소유형태 단일 소유자 각 세대별 개별 소유 가능
    등기 여부 건물 전체 1개 등기 세대별 개별 등기 가능
    거래 방식 통으로 임대 세대 단위 분양 및 거래 가능
    층수 제한 3층 이하 4층 이하, 660㎡ 미만
    세대수 19세대 이하 19세대 이하

     

    이처럼 법적 정의부터 거래방식까지 명확한 차이가 존재합니다.

     


    3. 실제 부동산 거래 시 혼동되는 이유

     

    부동산 실무에서는 간판만 봐서는 구분이 어렵습니다.
    예를 들어, 건물 외관이 같고 내부가 나눠져 있다면
    세입자는 다가구인지 다세대인지 쉽게 알 수 없습니다.

     

    • 다가구: 세입자가 전세로 들어가도 등기부등본에 이름이 안 올라감
    • 다세대: 전세계약 후 등기부등본에 권리자로 등재 가능

     

    "전입신고 시 주민등록상 주소만 보고 결정하면 안 됩니다!"

     


    4. 세입자 입장에서 꼭 알아야 할 주의사항

     

    임차인(세입자) 입장에서 중요한 것은
    "내 전세보증금 보호가 가능한가?"입니다.

     

    • 다세대주택: 전세보증보험 가입이 용이하며, 등기부등본 확인 가능
    • 다가구주택: 보증보험 가입이 까다롭고, 건물주 신용에 따라 리스크 존재

     

    이 때문에 보증금이 클 경우 다세대 주택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5. 투자자 입장에서의 전략 차이

     

    투자자라면 각각의 장단점을 따져야 합니다.

     

    • 다가구: 수익형 부동산으로 전체 통제 가능, 임대수익 극대화
    • 다세대: 분양으로 수익 실현 가능, 세대별 매매로 유동성 확보

     

    "다가구는 장기 임대, 다세대는 분양 목적 투자에 적합합니다."

     


    6. 건축 인허가와 세제 혜택의 차이

     

    건축 시 인허가 조건과 세금 정책도 서로 다릅니다.

     

    • 다세대: 공동주택으로 분류되어 건축기준 강화, 취득세·재산세 분산
    • 다가구: 단독주택으로 분류되어 완화된 기준, 하지만 세금 부담은 소유자에게 집중

     

    예를 들어, 다세대는 세대별 공시가격에 따라 세금이 낮게 책정될 수 있습니다.

     


    7. 혼합형 주택, 이런 경우도 있다?

     

    최근에는 '다세대처럼 보이는 다가구' 혹은
    '다가구 구조를 응용한 원룸형 다세대'도 등장하고 있습니다.

     

    이럴 경우 등기부등본을 열람하여
    실제 소유권 구조와 목적을 파악해야 합니다.

     

    "외관이나 구조보다 법적 등록 상태가 무엇인지 확인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티스토리툴바